[News] ESRS 공시기준 축소, 간소화 작업 착수
- 영진 전
- 6월 15일
- 2분 분량
최종 수정일: 6월 25일

2025년 유럽연합(EU)의 지속가능성 공시 기준(ESRS) 개정이 본격화되면서, 기업 실무자와 이해관계자 모두에게 중요한 변화가 예고되고 있습니다. 이번 개정은 단순한 규제 완화가 아닌, 실효성 있는 ESG 공시 체계로의 전환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2024년 본격 시행된 ESRS는 기업들에게 방대한 양의 ESG 데이터를 요구하며, 실무 현장에서는 과도한 행정 부담과 정보의 실질적 유용성에 대한 문제 제기가 이어져 왔습니다. 이에 따라 유럽집행위원회(EC)는 행정 부담을 대폭 경감하는 동시에, 유럽 그린딜 등 핵심 정책 목표를 훼손하지 않는 방향으로 ESRS 개정 작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개정의 핵심 방향성
1. 필수 공시 항목의 대폭 축소 및 명확화
중요도가 낮은 필수(shall) 데이터포인트는 삭제하거나 자율(may) 또는 가이드라인 수준으로 전환
정성적(서술형) 정보보다 정량적(수치형) 정보에 우선순위 부여
글로벌 기준(ISSB 등)과의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 강화
모호한 규정은 명확하게 재정의하여 실무 혼선을 최소화
2. 실무 부담 완화 및 효율성 제고
중요성(materiality) 원칙 적용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불필요한 정보 공시와 과도한 자료 준비 방지
“과도한 비용 및 노력(undue cost and effort)” 원칙 확대 적용
인수·매각, 민감 정보, 추정 불확실성 등 실무상 어려운 항목에 대한 부담 완화책 마련
3. 증거 기반의 개정 프로세스
실제 보고서를 작성한 기업, 투자자, 감사인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수렴
공개 설문, 인터뷰, 워크숍 등 다각적 방식으로 현장 의견을 반영
개정안(Exposure Draft) 마련 전, 충분한 증거와 피드백을 기반으로 한 실질적 개선 추진
개정 작업의 주요 일정
단계 | 기간 | 주요 내용 |
전략 방향 설정 | 2025년 4월~5월 초 | 단순화 전략, 주요 레버 선정 |
의견 청취 | 2025년 4월~5월 중순 | 설문, 인터뷰, 워크숍 등 |
Exposure Draft 작성 | 2025년 5월 ~7월 | 개정 초안 작성 및 내부 승인 |
공개 의견수렴 및 피드백 | 2025년 8~9월 | 30~45일간 단기 공개, 오프라인 행사 병행 |
최종안 확정 및 EC 제출 | 2025년 10월 | 기술적 자문서 최종 제출 |
실무적 시사점 및 전망
ESRS 개정은 핵심적이고 실질적인 ESG 정보 공시를 위해 기업의 행정 부담을 실질적으로 경감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앞으로 기업들은 더욱 명확하고 실무 친화적인 기준하에서 ESG 공시기준이 개편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중요성 평가의 구체화와 불필요한 데이터포인트의 삭제는 현장 실무자의 부담을 획기적으로 줄일 것으로 기대됩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