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비즈니스 상담

공공기관 ESG 수준진단 및 전략수립

삼송그룹은 다양한 ESG 컨설팅 경험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고객 맞춤형 ESG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ESG 수준진단

삼송그룹 ESG 수준진단은 공공기관이 공통적으로 대응해야 하는 ESG 이슈에 기반하여 대응 수준ESG 수준진단 모델을 통해 평가하고 있습니다. ESG 수준진단은 기초자료 수집, 진단 수행, 진단결과 확정 3단계로 진행하며, 진단결과의 경우 유사기관들과 수준진단 결과를 비교하여 Top, Mid, Low 3단계 진단 등급을 부여하고 있습니다.

데이터 분석

1. 기초자료 수집

  • 경영공시 자료 분석

  • ​환경정보공시 검토

  • ​경영실적 보고서 검토

객관적인 진단을 위해 대외적으로 공개된 자료를 활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기관에서 제공하는 내부 자료 활용 최소화

그래프 분석

2. ESG 수준진단 및 검증

  • 진단 항목 가중치 설정(업 특성 반영)

  • ESG 수준진단 실시​

  • ​수준진단 결과 검증(데이터 검증)

객관적인 진단을 위해 대외적으로 공개된 자료를 활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기관에서 제공하는 내부 자료 활용 최소화

터치 패드의 데이터

3. ESG 수준진단 결과 확정

  • ESG 수준진단 점수 산출

  • 진단 등급 부여 및 조정

  • ​진단 보고서 발간

객관적인 진단을 위해 대외적으로 공개된 자료를 활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기관에서 제공하는 내부 자료 활용 최소화

ESG 수준진단 모델

삼송그룹 ESG 수준진단 모델은 공공기관이 대응해야 하는 ESG Agenda를 선정하고 이에 대한 기관의 대응수준을 객관적으로 진단하기 위한 항목으로 구성하였으며, 진단 항목은 타당성 및 범용성을 고려하여 K-ESG 가이드라인을 활용하여 진단 모델을 구성하였습니다.

ESG 전략 수립

ESG 경영전략은 조직 뿐만 아니라 이해관계자를 포괄하는 ESG 중대 이슈를 고려하여 수립이 필요합니다. 삼송그룹은 ESG 중대이슈를 고려한 경영전략 수립을 위해 ESG 이슈 POOL 정의, 중요 이슈 선정, 전략과제 및 전략목표 설정, ESG 목표 설정 4단계 과정으로 컨설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ESG 이슈 POOL 정의 과정에서 ESG 경영 수준진단을 병행하여 ESG 리스크 대응을 위한 현실적인 개선과제를 발굴하고 제시하고 있습니다.

터치 패드의 데이터

1. ESG 이슈 정의

  • ESG 글로벌 이니셔티브 분석

  • 벤치마킹 기업 ESG 이슈 분석

  • ​ESG 수준진단 실시

  • ESG 이슈 POOL 정의

기관이 핵심적으로 대응해야 하는 ESG 이슈 POOL을 정의하고 ESG 수준진단을 통해 기관의 ESG 역량 수준을 진단

데스크에서 보고서 검토하기

2. 중요 이슈 선정

  • 중대성 평가 실시

  • 중요 이슈 식별​

  • ​전략적 시사점 도출

중대성 평가를 통해 대응 우선순위가 높은 중요 이슈를 선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

이동 팀

3. ESG 경영체계 구축

  • ESG 목표 설정

  • 전략과제 및 실행과제 설정

  • ESG 추진체계 및 관리체계 구축

중요 이슈 댕을 위한 전략과제 및 실행과제를 도출하고 기관의 역할을 고려한 ESG 목표 설정, ESG 목표 및 전략 추진을 위한 추진조직 및 관리체계 마련

중대성 평가

최근 GRI Standard 2021 제정에 따른 중대성 평가 요소에 변동이 있는 상황으로 이를 반영한 중대성 평가 실시

Phone

재무 영향도

​외부 환경/사회가

기업활동에 미치는 영향 

(Outside-in perspective)

재무 영향도, 사회∙환경 영향도를 고려한 이중 중대성 평가 실시

사회∙환경 영향도

​기업 활동이 외부

환경/사회에 미치는 영향(Inside-out perspective)

이중 중대성 적용(외부 환경/사회적 요인이 기업의 재무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과 기업의 비재무적 활동이 외부에 미치는 영향 2가지를 측정하여 중대 이슈 선정) 

중대성 평가

  • 최근 GRI Standard 2021 제정에 따른 중대성 평가 요소에 변동이 있는 상황으로 이를 반영한 중대성 평가 실시

  • 재무 영향도, 사회∙환경 영향도를 고려한 이중 중대성 평가 실시

재무 영향도

외부 환경/사회가 기업 활동에 미치는 영향(Outside-in perspective)

사회∙환경 영향도

기업 활동이 외부 환경/사회에 미치는 영향(Inside-out perspective)

이중 중대성 적용(외부 환경/사회적 요인이 기업의 재무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과 기업의 비재무적 활동이 외부에 미치는 여향 2가지를 측정하여 중대 이슈 선정)

Need more details? Contact us

We are here to assist. Contact us by phone, email or via our social media channels.

bottom of page